전기·가스·수도료 물가 상승률 2년 5개월 만에 가장 낮다는데…

김덕준 기자 [email protected]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관련 물가 1년 전보다 2.7%↑
기저효과에 정부 동결 기조 덕
하반기엔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정부, 가스요금부터 손댈 수도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료 물가 상승률이 2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가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들 물가가 특별히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지역 난방비는 꽤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물가 관리를 위해 하반기에도 이런 기조를 유지할 지를 두고 고심이 깊은 모습이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5월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보다 2.7% 올랐다. 2021년 12월 1.4% 오른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기료가 1.6% 올라 가장 낮았고, 도시가스 물가 상승률은 3.0%로 나타났다. 상수도료와 지역 난방비는 각각 3.2%, 12.1% 상승했다. 지역 난방비는 천연가스 가격이 인상되면서 많이 올랐다.

이처럼 주요 공공요금이 낮은 수준을 유지한 것은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 기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022∼2023년 전기·가스요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하면서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률은 2022년 7월부터 10%를 넘기 시작했다.

특히 2022년 10월∼2023년 8월에는 20%대를 나타났다. 올들어 요금이 인상되지 않자 지난해 상승률이 높았던 데 대한 기저효과(상대적인 비교효과)로 물가 상승률이 낮아진 것이다.

전기요금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000) 가운데 가중치가 16.1로 전기·가스·수도 품목 중에 가장 크다. 도시가스는 11.5, 지역 난방비와 상수도료는 각각 1.6, 4.5다. 통계청 관계자는 “도시가스는 지역별로 회사 소매·공급 비용 등에 있어 요금 인상에 차이가 있고 상수도 요금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은 하반기 물가의 변수 중 하나다. 최근 들어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전기·가스요금 정상화’에 대한 언급이 나오고 있지만 물가 관리를 담당하는 기획재정부는 신중한 모습이다. 전기·가스요금 인상은 국민과 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데다 자칫 최근 안정화 흐름에 접어든 물가 상승률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물가당국은 전기요금은 동결 기조를 유지하되 가스요금부터 현실화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전기는 사회 전반에 쓰이는 사용처가 폭넓고 여름철 냉방 에너지 수요도 증가해 요금을 올릴 경우에 민생 부담이 크다. 다만 도시가스 요금은 그간의 인상에도 여전히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이기도 하다.

최상목 부총리는 지난 4일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공공요금은 민생과 직결된만큼 요금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상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책무”라고 밝혔다.

한편 상반기 내내 소비자물가에 부담을 줬던 농산물 물가는 현재 안정화 추세다.


김덕준 기자 [email protected]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