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벌써 세 번째… 지역 종합건설업체 줄도산 공포

안준영 기자 [email protected]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공능력 400억대 건설사 부도
자체 브랜드 갖춘 주택 건설사
부도 소식에 하도급 대금 우려
지역 건설업체 자금 사정 악화
계약액 줄고 미수금 늘어 애로
이대로면 연쇄 부도 가능성도

서울 시내 한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는 모습. 부산일보DB 서울 시내 한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는 모습. 부산일보DB

지난달 부산 20위권 종합건설업체 2곳이 잇달아 부도(부산일보 5월 7일 자 1면 보도)난 데 이어 시공능력평가액 400억 원 규모의 지역 종합건설업체도 부도 처리됐다. 올해 들어 세 번째 부산 종합건설업체 부도로 지역 업계는 줄도산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26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A 건설사가 지난 25일 당좌거래정지 명단에 오르며 부도 처리됐다. 중소형 주택 건설회사인 A 건설사는 2014년 설립됐고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액은 400억 원가량이다.

A사는 자체 브랜드를 앞세워 도시형 아파트와 주상복합 건물을 주로 공급했다. 젊은 1~2인 가구를 겨냥해 서면과 대연동 등 부산 도심을 중심으로 업체 이름을 알렸다. 이번 A사의 부도 소식이 알려지면서 하도급 대금 지급 등과 관련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 부산에서는 2곳의 종합건설업체와 2곳의 전문건설업체에서 부도가 났다. 이번 A사의 부도로 부도난 종합건설업체 숫자는 3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부산 지역 중견 건설사인 남흥건설과 익수종합건설은 지난달 부도 처리됐다. 남흥건설은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액 790억 원 규모로 부산에서 상위 25위, 전국 307위를 차지했던 업체다. 익수종합건설은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액 705억 원 규모로 부산 29위, 전국 344위를 기록했다.

실제 부산 건설업체의 자금 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부산 지역 1개 건설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업체는 모두 지난해 말 기준 공사 미수금이 직전 연도보다 증가했다.

이에 따라 업체들의 부채 비율이 늘어나고, 연체율도 비은행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역 금융기관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0.66%에서 지난해 말 1.79%로 올랐고, 특히 비은행 금융기관에서의 대출 연체율은 2.37%에서 4.34%로 상승했다. 부산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 3월 기준 3222가구로 지난해 2분기 1267가구보다 154.3%나 증가했다.

앞으로의 전망도 그다지 밝지 않다. 부산 지역 1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은 3조 3000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3조 5000억 원)에 비해 5.7% 감소했다. 인천의 경우 건설공사 계약액이 6조 3000억 원을 기록해 부산을 크게 앞질렀다.

부산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앞서 부도가 난 2곳의 업체보다 규모는 작지만 지역 업계가 받아들이는 충격은 적지 않다”며 “올해 부도난 업체 14곳 가운데 서울 업체는 1곳뿐이다. 지역 건설사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많은 지역 업체들이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여파나 미수금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대로 놔두면 줄도산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며 “정부는 물론 지자체도 나서 관급 공사를 조기 발주하는 등 벼랑 끝에 몰린 지역 업계를 살리기 위해 선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email protected]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