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500m 방폐장 연구시설 유치전, 부산도 나서나

김한수 기자 [email protected]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5138억 들여 지하 연구시설 구축
한국형 처분 시스템 실험·인력 양성
25일 정부 설명회·연내 부지 확정
대전·울산 등 지자체 4~5곳 경쟁
지역 학계 “지반 단단한 부산 적지”
시 “여론 수렴 뒤 참여 결정” 신중

정부가 연내에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스템 연구를 위한 지하 연구시설 부지를 선정한다. 일본 홋카이도 호로나베 지하 연구시설 전경. 부산대 제공 정부가 연내에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스템 연구를 위한 지하 연구시설 부지를 선정한다. 일본 홋카이도 호로나베 지하 연구시설 전경. 부산대 제공

정부가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스템 연구를 위한 ‘지하 연구시설’(URL·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부지 유치 공모를 발표하면서 유치전 양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총 5138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공모에 전국 4~5개 지자체가 유치전에 뛰어들 의사를 밝혔다. 부산 지질학계는 부산이 지하 연구시설 조성에 필요한 단단한 지반이 있는 최적지라고 평가한다. 부산시는 시민 안전 등을 고려해 공모 참여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8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 연구시설’ 확보를 위한 공모를 발표했다. URL은 지하 500m 깊이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한국형 처분시스템 성능을 실험·연구하는 시설이다. URL에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이나 사용후핵연료는 반입되지 않는다.

산업부는 오는 25일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부지 유치 사업설명회를 연 뒤 다음 달 19일까지 광역·기초지자체로부터 유치의향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정부는 유치계획서 평가와 현장 부지 조사 등을 거쳐 올해 안에 후보 부지를 확정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URL 시설을 활용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시설 설치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시설로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스웨덴과 핀란드, 프랑스, 일본 등은 다수의 연구용 URL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가간 URL 네트워크를 형성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2006년부터 지하 150m 규모의 소규모 URL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정부의 URL 부지 공모에는 전국 4~5개 지자체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있는 대전시를 비롯해 울산시, 경북도, 전남도, 강원도가 URL 유치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지자체는 URL을 유치해 막대한 정부 지원과 연구 인력 양성 체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밝히고 있다.

부산 지질학계는 부산이 URL 유치에 최적지라며 URL 유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질학계는 URL 조성에 필요한 필수 지반인 단단한 화강암층이 갖춰진 곳이 부산에 다수 존재하는 것을 기초 근거로 삼았다. 또 국내 최대 원전 밀집지역인 부산 현실을 고려해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과 마찬가지로 막대한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URL을 유치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대 정훈영(지질환경과학과) 지질재해연구소장은 “부산 곳곳에는 연구용 URL 조성에 필수적인 화강암 지반이 갖춰져 있다”며 “지하 500m까지 내려가는 URL 연구에 아주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소장은 “부산은 원전 10기가 인접한 지역으로서, 연구용 URL 유치는 지역 사회에 대한 현실적인 보상안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구용 URL 건설 및 운영에 따른 직접적인 지역 경제 상승 효과뿐만 아니라, 1조 4000억 원 규모로 예상되는 고준위 방폐물 관리 연구개발 사업 예산 확보에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대는 시에 URL 공모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상황이다.

시는 신중한 입장이다. 시는 오는 25일 진행되는 부지 유치 사업설명회에 참가한 뒤 공모 참여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원전에 대한 시민 불안감이 있는 상황에서 URL 유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함께 기초지자체·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 김경덕 시민안전실장은 “URL 유치에 대한 학계와 기초지자체 등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종합한 뒤 공모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김한수 기자 [email protected]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