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박완수 다음 주 회동… 행정통합 띄운다

박태우 기자 [email protected]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경남 수장 지역 현안 조율
통합 논의 공론화 계기 될 전망
야당 주장 메가시티 입장 표명도
물 공급 문제 돌파구 마련 기대

박형준(사진 왼쪽) 부산시장과 박완수 경남도지사. 부산일보DB 박형준(사진 왼쪽) 부산시장과 박완수 경남도지사. 부산일보DB

박형준 부산시장과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이른 시일 내 만나 두 지자체 행정통합 등 지역 공동 현안을 논의한다. 대구·경북을 비롯해 전국 지자체들이 행정통합 중심 지역균형발전 의제 선점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이번 두 광역단체장 회동은 그간 수면 아래에 가라앉아 있던 부산과 경남 행정통합 논의를 본격적인 공론의 장으로 끌어올리는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부산시에 따르면 양 시도는 행정통합 등 지역 현안을 조율하기 위해 박 시장과 박 지사 회동을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두 단체장의 만남 방식부터 행정통합 문제를 비롯한 현안 중 어떤 의제를 테이블에 올리고, 어떤 메시지를 낼지 등을 소관 부서를 중심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실무 협의가 이번 주 마무리되는 대로 이르면 다음 주 회동을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두 단체장의 이번 만남은 박 시장의 제의를 박 지사가 수락하면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동은 양 시도 간 통합 논의가 본격적인 공론화 단계로 나아가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두 단체장은 회동에서 지난 3월부터 양 시도가 진행해 온 공동연구를 토대로 최적의 통합 모델과 타당성, 주민 의견 수렴 방식, 자치권 이양과 정부 지원책을 명문화한 특별법 제정 등 행정통합 전반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통합 논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행정통합안 발표와 여론조사 일정을 조율하는 등 ‘통합 로드맵’을 앞당기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재점화된 부울경 메가시티 재추진 논의에 대해서 두 단체장이 입장을 표명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지난해 5~6월 두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통합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더 높게 나타난 점을 감안해 신중론을 유지하면서 통합 논의에 필요한 사전절차를 진행해 왔다. 특히 행정통합이 이뤄질 경우 부산, 창원 등 대도시권으로 행정·경제 기능 집중화가 심해질 것을 우려한 경남도민 사이에서 반대 여론이 강했다. 박 시장과 박 지사도 “단순히 행정기관을 합하는 형식적 통합이 아닌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 시·도민 의사가 최우선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이런 가운데 대구시와 경북도가 2026년 7월 통합자치단체 출범에 전격 합의하는 등 전국 지자체들이 통합 논의에 불을 붙이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대한민국 제2 중심축 구축이라는 부울경 미래 전략이 무력화될 수 있다는 지역의 우려가 비등한 만큼, 이번 회동을 통해 행정통합에 대한 부산·경남의 기조에 큰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부산 물 공급 문제도 중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 부산시와 경남 의령군이 맺은 낙동강 유역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상생 협약은 의령 주민 반대에 막혀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번 회동에서 부산시가 진전된 ‘상생 카드’를 제시하고, 경남도가 화답할 경우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박태우 기자 [email protected]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