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립 없다'는 우원식 국회의장,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곽진석 기자 [email protected]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민주당 출신 우원식 국회의장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계획 철회 요구도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가운데)가 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가운데)가 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은 현충일인 6일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민주유공자예우관련법(민주유공자법) 제정과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청했다.

우 의장은 이날 본인 페이스북에 "민주유공자법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로 임해주길 바란다"며 "민주유공자법은 그 희생과 헌신을 국가가 인정하자는 법이다. 사적으로 인정하는 데서 그칠 게 아니라 공적으로 인정하자는 것"이라며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 법안은 이미 특별법이 있는 4·19와 5·18을 제외한 다른 민주화 운동에서 피해를 본 사람도 유공자로 지정해 본인과 가족에게 혜택을 주는 내용을 담는다. 민주유공자법 제정안은 지난달 28일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야당 단독으로 의결됐으나, 이튿날 윤 대통령은 법안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국민의힘은 앞서 반체제 시위자까지 유공자로 둔갑될 수 있다는 등의 우려를 들어 민주유공자법을 반대해 왔다.

우 의장은 "민주주의로 나가기 위해서 희생했던 많은 열사들을 민주유공자로 부를 수 있도록 국가가 예우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만드는 일에 정부도 협력해 주길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이전하는 문제를 두고 윤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지금이라도 이 계획을 전면 백지화할 것을 요청한다"고도 밝혔다.

우 의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정부가 독립영웅 흉상의 철거 계획을 고수하는 것은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육사는 지난해 육사 종합강의동인 충무관 앞 홍범도·지정천·이범석·김좌진 장군,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회영 선생의 흉상을 이전하겠다고 해 독립유공자단체의 반발을 산 바 있다.

독립운동가 김한의 외손자인 우 의장은 민주당 내 독립영웅역사왜곡저지특위 소속으로 활동하며 홍범도 장군 등의 흉상을 육사에 남겨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 의장은 "항일독립운동은 우리 역사의 자부심이자 국민의 자랑"이라며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봉환하고, 다섯 분의 흉상을 세운 것도 독립영웅을 기리는 일과 국격을 높이는 길이 다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곽진석 기자 [email protected]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