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장기화에… 췌장암 환자 10명 중 6명 "정상 진료 못 받아"

조영미 기자 [email protected]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281명 설문
67% 진료 거부, 51% 치료 지연 경험
일본 지역정원제 참조 한국에 도입해야

정부가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가 사직할 수 있도록 각종 명령을 철회하고 행정처분 절차도 중단했다. 5일 오전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출구 안내판을 지나고 있다. 의정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최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췌장암 환자 10명 중 6명이 진료 거부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정부가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가 사직할 수 있도록 각종 명령을 철회하고 행정처분 절차도 중단했다. 5일 오전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출구 안내판을 지나고 있다. 의정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최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췌장암 환자 10명 중 6명이 진료 거부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의정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췌장암 환자 10명 중 6명이 정상 진료를 받지 못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의정갈등 이후 대형병원이 신규 환자 진료를 축소하면서 신규 진단 환자의 피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지난달 30일 췌장암 환자 2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7%가 진료 거부를 겪었다고 5일 밝혔다. 이들 중 51%는 치료 지연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앞서 협의회는 지난달 7일 암 환자 1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 설문조사 결과보다 더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당시 응답자의 56%가 진료 거부를 경험했고, 43%는 항암 치료가 지연됐다고 답했다.

한 중증질환 환자는 “의정갈등으로 하루 휴진을 하면서 항암치료가 한 주 뒤로 지연됐다”며 “교수는 괜찮다고 했지만 환자 입장에서 불안했고 다학제(하루에 여러 진료과목 의사를 보는 것)가 취소돼 과마다 외래를 따로 잡아서 진료를 받아야 했다”고 토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협의회와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의료 공백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 체계 마련 △대형병원 병상수 축소 △수도권 병상 허가 재검토 △필수의료 전공 과정 강화 △비대면 진료의 공공적 관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환자단체 참여 확대 촉구 △비대면 진료 공공적 관리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협의회는 “일본은 2008년부터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을 단계적으로 늘려왔고 지역정원제를 도입해 지역 간 의료 분배의 형평성을 높여 왔다”면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우리나라에도 지역정원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영미 기자 [email protected]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